728x90
웹 개발자가 알아야 할 규칙
웹 페이지를 만들게 된다면 반드시 지키지는 않아도 지키면 좋은, 지킬수록 좋은 규칙들이 있다. 웹 표준, 웹 접근성, 웹 호환성이 이에 해당한다.
웹 표준이란?
웹 표준이란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에 따른 기능 차이에 대하여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시된 표준으로, 다른 기종 혹은 플랫폼에 따라 달리 구현되는 기술을 동일하게 구현함과 동시에 어느 한쪽에 최적화되어 치우치지 않도록 공통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을 의미합니다.
왜 지켜야 할까?
1. 수정 및 운영관리가 용이합니다.
2. 접근성이 향상됩니다.
3. 검색엔진에 최적화 됩니다.
4. 파일 사이즈를 축소시켜, 서버 공간을 절약합니다.
5. 마크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.
6. 다른 브라우저에서의 호환 가능해집니다.
2. 접근성이 향상됩니다.
3. 검색엔진에 최적화 됩니다.
4. 파일 사이즈를 축소시켜, 서버 공간을 절약합니다.
5. 마크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.
6. 다른 브라우저에서의 호환 가능해집니다.
웹 접근성이란?
웹 접근성이란, '지능정보화 기본법'에 따라 장애인이나 고령자분들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용 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입니다.
왜 지켜야 할까?
웹에 접속하는 기기들이 다양해지고, 생활 속에 깊게 파고든 현 시점에 웹에 접근하기 어려운 계층은 소외되기 쉽습니다.
특히 노인이나 장애인, 사회적 약자 등이 정보화의 혜택이 가장 필요한 계층임에도 웹 접근성 수준이 보장되지 않는다면
웹을 사용하기 어려워지고, 혜택을 받을 수 없는 상황도 생기게 됩니다.
이러한 정보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웹 접근성의 보장이 꼭 필요합니다.
엡 호환성이란?
웹 호환성은 표준 웹 기술을 사용하여 운영체제, 브라우저 등 어느 한쪽으로 최적화되거나 종속되지 않도록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으로 웹 사이트 사용 시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 간 동일한 결과가 나오도록 의미하는 웹 상호운용성의 개념에 웹 표준의 준수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.
왜 지켜야 할까?
웹 표준을 준수하지 않고 특정 운영체제와 브라우저에 종속되어 있다면
다양한 운영체제 환경 및 브라우저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됩니다.
이러한 경우, 다른 브라우저나 외국에서 국내 브라우저에 접속하게 될 때,
접근하기 어렵고 웹 호환성이 현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.
사용자가 다양한 웹 브라우저 환경에서 동일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웹 호환성을 준수하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.
구분 | 목적 | 준수 내용 | 차이 |
---|---|---|---|
웹 표준 (Web Standards) |
웹의 사용성 및 접근성 보장 |
HTML, CSS 등에 대한 WC3규격(문법) 준수 등 - HTML, CSS, Javascript 등 구조와 표현, 동작 분리 권고 |
웹의 내용, 표현, 행동에 관련된 기술 표준 |
웹 접근성 (Web Accessibility) |
인적, 환경적 요인에 제약없는 웹 정보 접근 |
W3C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(WAI)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2.0 - 인식의 용이성, 운용의 용이성, 이해의 용이성, 견고성 |
웹 표준을 공통으로 포함 |
웹 호환성 (Cross Browsing) |
웹 브라우저 버전, 종류와 관계없는 웹사이트 접근 |
웹 표준 준수를 통한 브라우저 호환성 확보 - HTML, CSS 문법 준수 - 동작, 레이아웃, 플러그인 호환성 |
728x90
'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방구석 정보통 : VScode Prettier 사용하기 (2) | 2022.09.06 |
---|---|
구조 알아보기 : 블록 구조 / 인라인 구조/ 인라인블록 구조 (4) | 2022.08.21 |
구조 관련 요소 알아보기 (3) | 2022.08.14 |
기획 발표 자료 (6) | 2022.07.2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