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프로그래머스 1단계 -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
🍞 문제 설명
두 수를 입력받아 두 수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반환하는 함수,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.
배열의 맨 앞에 최대공약수, 그다음 최소공배수를 넣어 반환하면 됩니다.
예를 들어 두 수 3, 12의 최대공약수는 3, 최소공배수는 12이므로 solution(3, 12)는 [3, 12]를 반환해야 합니다.
🍞 제한 조건
두 수는 1이상 1000000이하의 자연수입니다.
🍞 입출력 예
n | m | return |
---|---|---|
3 | 12 | [3, 12] |
2 | 5 | [1, 10] |
입출력 예 #1
위의 설명과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2
자연수 2와 5의 최대공약수는 1, 최소공배수는 10이므로 [1, 10]을 리턴해야 합니다.
위의 설명과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2
자연수 2와 5의 최대공약수는 1, 최소공배수는 10이므로 [1, 10]을 리턴해야 합니다.
🍞 문제 풀이
모르겠어서 풀이법을 찾아보았습니다.
이 방법은 유클리드 호제법이라고 하며 2개의 자연수 또는 정식(整式)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의 하나라고 합니다.
호제법이란 말은 두 수가 서로 상대방 수를 나누어서 결국 원하는 수를 얻는 알고리즘을 나타냅니다.
function solution(n, m) {
let min = (n < m) ? n : m;
let rag = 0;
for (let i = 1; i <= min; i++) {
if (n % i == 0 && m % i == 0)
rag = i;
}
return answer = [rag, n * m / rag]
}
🍞 다른 이의 풀이
for문을 통해 반복하며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방법입니다. 두 수 중 작은 수를 먼저 구해야 한다는 점은 위와 같네요.
function solution(n, m) {
const min = Math.min(n, m);
let common_max = 1;
for(let i = min; i > 0; i--){
if(n % i === 0 && m % i === 0){
common_max = i;
break;
}
}
return [common_max, common_max * (n / common_max)* (m / common_max)];
}
728x90
'알고리즘 공부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1단계 - 이상한 문자 만들기 (1) | 2022.11.27 |
---|---|
프로그래머스 1단계 - 같은 숫자는 싫어 (1) | 2022.11.27 |
프로그래머스 1단계 - 직사각형 별찍기 (1) | 2022.11.24 |
프로그래머스 1단계 - 행렬의 덧셈 (1) | 2022.11.23 |
프로그래머스 1단계 -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(1) | 2022.11.22 |
댓글